Korean posts

버나드 바스 – 뇌의식의 극장 (In the Theater of Consciousness) 프롤로그

서문: 비유 당신은 의식이 있다. 나도 마찬가지다. 여기까지는 어렵잖게 말할 수 있다. 의식이 없는 동안 우리 육체는 힘을 잃고 축 처진다. 눈구멍 속 눈알은 제멋대로 구르고, 뇌파는 크게, 느리게, 규칙적으로 변하며, 우리는 이 문장을 읽을 수도 없게 된다. 이처럼 겉으로 보이는 의식의 징후는 꽤 명확하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것은 의식이 […]

Read more
Korean posts

(短想) 대화와 무의식

대화란 결국 상대방의 저 밑 무의식(코끼리)을 건드리기 위함이 아닌가 한다. 의식 수준에서 아무리 잘 된 대화도 상대방의 무의식이 공격을 받았다면 실패한 것이다. 설령 싸웠어도 그걸로 무의식이 만족을 했다면 잘된 대화다.

Read more
Korean posts

On Consciousness – Bernard Baars Part 2: 의식의 과학적 접근

Introduction 의식은 극장에 비유할 수 있다.시상피질계는 많은 허브들이 있으며, 그 허브는 수시로 바뀐다. 1. 너두, 나두, 의식이 있다 여기서 이해하고자 하는 의식의 의미: 쉽게 기술 가능한 사건들에 집중된 의식. 예) 나는 책 페이지를 본다. 그는 엄마의 얼굴을 상상한다.이렇게 하면 객관적인 검정이 가능하다. 1.1 의식으로 돌아오다 의식이 과학계에서 추방당했던 이야기… 버트랜드 […]

Read more
Korean posts

On Consciousness – Bernard Baars Part 1: 의식 탐구

수학책이 너무 어려워서 우선 버나드 바스 책으로 다시 시작해보기로 했다. Introduction 왜 일부 사람들은 의식의 존재를 부인하는가? 과학자들은 ‘의식적 경험’, ‘수의적 통제’, ‘개인 인격’이라는 세 가지 근본 질문에서 벗어날 수 없다. 피험자가 아무것도 하지 않는 ‘default mode’나 ‘resting state’는 활동적인 의식의 흐름이다. 실험과제를 할 때보다 뇌 활성이 더 높은 것도 […]

Read more
Korean posts

시상과 수면

Hay, Y. A. et al. Thalamus mediates neocortical Down state transition via GABAB-receptor-targeting interneurons. Neuron 109, 2682-2690.e5 (2021). Introduction 서파 수면 중에 뇌 활동은 Down state과 Up state을 오간다. Up은 국지적으로 개시되어 피질 표면에 퍼지고, passive하게 끝난다. Down은 피질 영역간에 매우 동기화되어 일어난다. 이는 그것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이 있다는 뜻. Thalamus가 […]

Read more
Korean posts

Consciousness: A Mathematical Treatment of the Global Workspace Model – Chapter 1

GNWT 공부를 위해 2005년 Rodrick Wallace 저술의 Consciousness: A Mathematical Treatment of the Global Workspace Model를 읽어보기로 했다. Preface Chapter 1: 의식이란 무엇인가? Global neuronal workspace model에 대한 설명: Global neuronal workspace: all-or-non changes in neural activity. threshold를 넘으면 신호가 재반복되어 의식됨. 이러한 internal state의 discontinuous phase transition은 self-amplification을 가진 […]

Read more
Korean posts

GWT와 PFC

버나드 바스가 최근에 Frontiers in Psych에 논문을 냈다. Mashour 한테 가는 나로서는 꼭 읽고 정리해 둬야지.주요 요지는 PFC와 GWT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논문의 목표는 아래 세 가지다. GWT 소개하기 GWT를 반박하는 논문을 재반박 의식적 메타인지와 무의식적 메타인지 구분 GWT와 피질 우선 GWT에 관해 좀 소개를 한다. “global workspace”라는 개념 자체는 AI에서 […]

Read more
Korean posts

통합 정보 이론 Integrated Information Theory (IIT)

오늘날 가장 각광받고 있는(부정적으로든, 긍정적으로든) 의식 이론으로는 통합 정보 이론을 꼽을 수 있다. 의식의 정체를 논하다 보면 양립 불가능한 두 극단의 생각에 치닫기 쉽다. 한 극단에서는 의식이 예컨대 영혼과 같은 부가적인 무언가라고 주장한다. 인간 혹은 특정 존재에게 육신 외에 부여된 무언가가 있으므로, 육신이 죽어도 우리는 살아갈 수 있다. 천국 혹은 […]

Read more
Korean posts

연구 잡상

뒤늦었지만 이제야 살짝 체화할 것 같은 몇 가지 깨달음. 첫째, 연구자로서의 내 일상을 유지하는 어떠한 황금률 같은 루틴이나 규칙은 없다는 것.  달려드는 괴한을 막는 것에 정해진 룰이 없듯, 나 역시 밀려드는 무력감, 회피 욕구, 안주하고 싶은 마음에 대하여 수단을 가리지 않고, 체면에 개의치 않고, 그 순간 손에 짚이는 모든 방법을 […]

Read more
Korean posts

Coherence, Transfer entropy, Lempel-Ziv Complexity

오늘은 Pal et al. (2020)의 정말 너무너무 재밌는 논문을 읽었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마취된 rat의 prefrontal(but not parietal)에 cholinergic stimulation을 하면 쥐가 마취에서 깨어나는데,  기존에 의식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던 뇌파의 connectivity, slow oscillation, complexity 중 “깨어남”과 상관되는 변수는 없더라는 것. 사실 그것들은 drug effect이지, 의식 상태를 제대로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것.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