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posts

『나는 천국을 보았다』 : 환상은 환상이다

사후세계를 경험하고 돌아왔다는 신경외과 의사 이븐 알렉산더의 <나는 천국을 보았다(Proof of heaven)>을 읽고 있다. 임사체험은 무엇일까? 저자는 다른 임사체험자들과 달리 체험 도중에 자아를 기억하지 못했다. 그래서 더 깊숙한 곳까지 여행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임사체험의 이러한 비일관성이 그것이 환상이라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꿈을 예로 들어 보자. 우리는 모두 꿈을 꾸므로 […]

Read more
Korean posts

문어의 영혼 : 의식의 수렴진화

  사이 몽고메리의 <문어의 영혼>을 읽고 있다. 책에서 저자는 아쿠아리움을 방문하면서 문어뿐만 아니라 여러 수생생물들과 교감한 기록을 소개한다. 여러 에피소드가 등장하는데, 문어들은 훈련사 각각을 기억하고, 흡연 여부나 긴장했는지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고, 장난을 치기도 하며, 자주 탈출을 꿈꾼다. 개체마다 성격도 다르다. 마치 서로 다른 인격이 있는 것처럼. 문어는 두족류 중에는 가장 […]

Read more
Korean posts

역자후기와 짤막한 소고

지난 5월 <뇌의식의 우주> 번역을 마치고 오늘 역자후기를 탈고했다.제럴드 에델만과 줄리오 토노니가 2000년에 쓴 이 책은 신경 다윈주의로 일컬어지는 에델만의 이론이 토노니의 IIT에 어떠한 영향을 줬는지, 둘이 어떻게 하나의 뿌리를 공유하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책이었다.의식의 특성으로부터 거꾸로 그것을 가능케 하는 생물학적 시스템을 파고들어가는 발상의 전환이 너무도 흥미롭다. 열심히 쓴 글인지라… 블로그에도 […]

Read more
Korean posts

조세프 르두

원문: https://www.pnas.org/content/117/13/6976 옛날에 북마크해 둔 조세프 르두의 Perspective 논문인데…의식 연구의 역사를 개괄한 아주 좋은 논문이다.한 문장으로 정리하자면, 의식 연구는 일반적인 통념처럼 1990년에 부흥한 게 아니라, 19세기 말부터 꾸준히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것. 제목이 참 재밌다. 다시 말해 왜 우리는 의식을 이런 식으로 연구하게 되었나?에 관한 소고다.흔히 의식 연구의 역사를 […]

Read more
Korean posts

마취의 두 가지 원리

지난주 논문스터디에서 정말 재밌는 논문을 읽었다.2020년 2월 Cell지에 실린 논문인데 Suzuki, M., & Larkum, M. E. (2020). General Anesthesia Decouples Cortical Pyramidal Neurons. Cell, 180(4), 666-676.e13. 저자가 고작 2명…. 경악. 저자들은 2017년에 microPeriscope 라는 기술을 개발했다. (2017 Nat Comm)그것인즉슨, 잠망경처럼 거울로 레이저를 90도로 꺾어 특정 피질층만 자극하는 기법이다.(정말 얼마나 정교한가는 둘째 […]

Read more
Korean posts

J 교수님과의 대화

소중한 은사님 J교수님을 장장 반 년만에 뵈었다.말하며 느낀 바를 더 잊어버리기 전에 여기에나마 정리해 본다. Q. 지난번 만남 이후로 circuit이 아닌 cortex를 파야 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실제로도 딥러닝이나 각종 테크닉을 적용한 논문들이 좋은 곳에 나오더라. 하지만 내가 알기로는 실험과학자는 이론과학자를 천대하는 경우가 많다. 뇌과학은 어떠한가? 이론과학자,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삶은? A. […]

Read more
Korean posts

출간 소고

과학책방갈다 추천링크(무한감사) 블로깅을 멈춘 가장 큰 원인이었던 번역서 <뇌의식의 대화>가 지난 1월 출간되었다. 네이버 북스 링크 사실 아마추어, 아니 일반인이 번역을 하겠다고 달려든 것 자체가 미친 짓이었다. 불가피한 시행착오로 적잖은 애를 먹었다. 운동을 그만뒀고, 몸이 다소 나빠졌다. 본업인 연구도 지연되었다. 미처 다 바로잡지 못한 오류들은 아직도 쿡쿡 쑤신다. 이런 번역자를 믿고 […]

Read more
Korean posts

Betweenness centrality란?

의식에 관한 많은 논문에서 graph theory, network analysis가 널리 이용된다.뇌를 영역 간의 연결망으로 바라보고 전통적인 접근법을 적용한 연구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특히 병변이 있는 환자와 정상인의 뇌 네트워크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질병 진단, 발병 기작 등에 대한 깊은 이해가 가능해졌다. 그중에서도 betweenness centrality는 네트워크 속 특정 node가 네트워크의 연결성에 […]

Read more
Korean posts

의식은 양막류에서 시작되었나?

이 글은 다음 논문에 관한 요약 및 리뷰이다. Grinde, Bjørn, “Did consciousness first evolve in the amniotes?”, Psychology of Consciousnes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Vol 5(3), Sep 2018, 239-257 의식은 계통학적으로 언제 발생했는가?이 질문은 동물 의식을 둘러싼 핵심 논쟁 중 하나이다. 의식의 근간인 신경계는 약 6억 년 전에 군체가 다세포생물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