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가장 각광받고 있는(부정적으로든, 긍정적으로든) 의식 이론으로는 통합 정보 이론을 꼽을 수 있다. 의식의 정체를 논하다 보면 양립 불가능한 두 극단의 생각에 치닫기 쉽다. 한 극단에서는 의식이 예컨대 영혼과 같은 부가적인 무언가라고 주장한다. 인간 혹은 특정 존재에게 육신 외에 부여된 무언가가 있으므로, 육신이 죽어도 우리는 살아갈 수 있다. 천국 혹은 환생에 대한 믿음도 이와 다르지 않다. 이른바 이원론은 고대로부터 이어진 오랜 믿음이다.
반대편 끝에서는 의식을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단, 그 설명 방식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설왕설래가 오가는 것이다. 예를 들어 Hard problem이라는 표현을 고안한 찰머스는 의식이 만물을 이루는 우주의 기본 구성 요소라고 주장한다. 가령 전자가 전기장을 따라 특정한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은 그것에게 우주 법칙을 따르고자 하는 “주관”이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의식, 즉 주관성이 우주의 기본 구성요소라면,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 심지어 돌멩이조차 그 나름대로의 의식을 갖고, 그 자신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특정 물리계의 의식 수준을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이 문제를 천착한 이들이 바로 제럴드 에델만과 줄리오 토노니이다. 둘은 1990년대 말~ 2000년대 초반 협업하여 역동적 핵심부 가설을 구축하였고, 2000년대 초반 결별하여 각자의 길을 걸었다. 이들의 이론의 핵심은 의식의 생리학적 메커니즘이 무엇이냐를 묻기 이전에 의식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묻는다는 점이다. 이 경우 의식은 생명 현상이 아닌, 하나의 정보처리 기능으로서 정의된다. 토노니는 이후 독자적으로 통합 정보 이론을 고안하였고, 코흐를 비롯한 많은 이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토노니는 의식의 특성으로 다음 5가지 “공리”를 든다.
- 내재: 의식은 존재한다. 경험은 실재한다. 의식은 외부 관찰자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내재적이다.
- 구조: 의식은 구조가 있다. 색, 모양, 움직임 등 여러 현상적 특성들이 모여 하나의 사물을 인식한다.
- 정보: 의식은 고유한 내용이 있다. 2번의 특성들이 어떻게 조합되느냐에 따라 하나의 경험은 다른 경험과 구별된다.
- 통합: 의식은 통합되어 있다. 두 경험을 동시에 할 수 없다. 우리는 시야의 왼쪽과 오른쪽을 나누어 인지할 수 없고, 하나의 통합된 시야를 경험한다.
- 배타: 의식은 내용과 시공간적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하나의 의식이 경험할 수 있는 현상학적 특성은 변하지 않는다. (오감이 아닌 특정 감각이 추가될 수 없고, 경험은 일정한 속도로 흐른다)
(공리라 함은 불변의 명제인데, 나는 이 5가지의 선정이 자의적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어쨌거나 토노니는 위 공리를 바탕으로 어떤 물리계의 내부에서 정보가 교환될 때 그 계에서 통합된 정보의 양을 계산하는 공식을 정의했고, 그것을 그리스 문자 Φ 로 명명했다. 사람의 뇌는 다양한 가짓수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높은 값을 갖는다. 또한 특정 Φ를 넘길 때만 의식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