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posts

[Huang 논문리뷰 4] Signature of consciousness in brain-wide synchronization patterns of monkey and human fMRI signals

인간 18명 -> awake vs sleep원숭이 3마리 => awake vs. propofol fMRI signal을 point process로 변환 -> peak을 discrete event로 취급.재밌는 접근이다. 이렇게 하면 spike train에서 쓰는 분석법을 다 적용할 수 있으니까. Raster plot 그렸을 때 분명한 차이 도출. awake에서는 global synchronization 관찰되고, unconscious state에서는 local sync만 일어남. 바로 Fano […]

Read more
Korean posts

[Huang 논문리뷰 3] Brain network integration dynamics are associated with loss and recovery of consciousness induced by sevoflurane

Introduction 인간의 뇌 연결성 패턴은 계속 변화한다. (dynamic functional connectivity) sub-states를 오간다. 한편, integration과 segregation은 의식의 중요한 속성이다. 그래프 이론을 적용하면 뇌의 integration, segregation, dynamics를 연구할 수 있다. 그 결과, 뇌는 integrated state과 segregated state을 계속 오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Integration이 주를 이루는 substate에서는 network complexity가 감소하고 의식이 사라진다. 또한, DMN과 […]

Read more
Korean posts

[Huang 논문리뷰 2] Asymmetric neural dynamics characterize loss and recovery of consciousness

Intro 마취의 시작과 끝은 asymmetric하다. hysteresis가 나타난다.기존에는 이것이 약동학적인 효과인 줄 알았는데 이것이 신경 동역학 때문이라는 제안이 제기되고 있다.마취가 시작되기 위해 필요한 마취제의 양은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양보다 크다. (neural inertia) 그러나 이것이 인간에게 있는가는 controversial하다 (!) fMRI로는 이걸 테스트한 적이 없다고… 이 논문에서는 마취제 농도 조절해가면서 dynamic functional connectivity, […]

Read more
Korean posts

Topological data analysis (TDA) of fMRI data

황교수님이 또 읽을거리를 던져주셨다. TDA라는 분석인데, brain dynamics와 그 landscape를 graph로 표현하는 분석방식이라고 한다. 복잡한 고차원 데이터를 간단한 표상으로 변환하는 것. 올라프 스폰즈가 개발했다고 한다. 임의적인 averaging이 불필요. 개별 피험자 수준에서 통계적 분석 가능. 방법 자체는 되게 직관적이다. t-SNE (stochastic neighborhood estimation) 로 dimensionality를 down 시켜서 2D에 표현하고 그걸 clustering해서 […]

Read more
Korean posts

[Huang 논문리뷰] 1. Human consciousness is supported by dynamic complex patterns of brain signal coordination

황교수님이 논문 리스트를 잔뜩 던져주셔서 한 편 한 편 읽고 리뷰를 정리하려 한다. 참고로 이 논문은 뉴로저널클럽에서 2022년 4월 20일에 발표하기도 한 논문이다. Demertzi, A. et al. Human consciousness is supported by dynamic complex patterns of brain signal coordination. Sci Adv 5, eaat7603 (2019). 인간의 뇌에서는 신경신호가 끊임없이 재조합되고 결합되고 […]

Read more
Korean posts

Betweenness centrality란?

의식에 관한 많은 논문에서 graph theory, network analysis가 널리 이용된다.뇌를 영역 간의 연결망으로 바라보고 전통적인 접근법을 적용한 연구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특히 병변이 있는 환자와 정상인의 뇌 네트워크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질병 진단, 발병 기작 등에 대한 깊은 이해가 가능해졌다. 그중에서도 betweenness centrality는 네트워크 속 특정 node가 네트워크의 연결성에 […]

Read more